냉각탑

냉각탑

KSN정용수 2009. 9. 30. 11:51

냉각탑의종류

- 냉각탑은 4가지 방식에 의하여 분류하여 볼수 있습니다.

(1)
통풍방식에 의한 분류

-
자연통풍식 냉각탑
① 분수지 냉각탑 - 강제통풍의 약 100배 정도의 넓은 면적을 요구하는 방식으로 못의 표
1~2m 높이에 노즐을 위로 향하게 배열하고 0,6~1,2/.hr의 물을 0.5mmAq 정도의
압력으로 못의 표면에 분사시켜 냉각시키는 방식으로 수원이 풍부하고 넓은 못을 사용
할수있을때 사용할수 있는 특수한 경우의 냉각방법 입니다.


② 대기식 냉각탑 - 냉각탑의 좌,우면에 판자를 틈이 나게 댄 것을 상하로 간격을 두고
2~6
/hr의 물을 상부 노즐에서 살포하며 공기는 판자 사이를 수평으로 자연통풍 되
어 빠져 나가면서 물이 냉각되는 방식입니다.


③ 자연통풍 냉각탑 - 20~120m의 탑 높이가 굴뚝 역할을 하며 탑 하부에서 공기를 흡입
하여상부로 배출 하부에 산수기와 충진물이 있어 이 부분만으로 공기와 물이 직접 접촉
되면서 냉각되는 방식으로 대기의 습구온도가 낮은 유럽에서는 송풍기 동력이 들지않
아 운전비가 저렴하나 초기 설비비가 많이 들고 지진이 잦은지역 에서는 내진설계가 요
구됩니다.


-
강제통풍 냉각탑
공업용,공조용 모두 사용되며 효율이 좋아 현재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냉각창치로 송풍
기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모든 냉각탑이 이에 해당됩니다. 공기를 유동시키므
로 냉각효과가 크고 성능도 안정되며 소형,경량화 할 수 있어 투자비가 저렴합니다



(2)
물과 공기의 접촉 유수 방향에 의한 분류

-
직교류형 냉각탑(Cross Flow Type)
물과 공기가 서로 직각이 되게 흐르면서 냉각되는 방식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보수 점검
이 용이하며 여러대를 배열하기가 용이 합니다

-
대향류형 냉각탑(Counter Flow Type)
물과 공기가 동일한 방향으로 흐르면서 냉각되는 방식으로 냉각효율이 높고 대,소 용량
에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

-
병류형(역류형)냉각탑
물과 공기가 동일한 방향으로 흐르면서 냉각되는 방식으로 열효율이 나빠 요즘은 거의
사용 하지 않는 방식의 냉각탑 입니다



(3)
송풍기의 위치에 따른 분류

-
유도 통풍식 냉각탑
송풍기가 상부에 있어 냉각탑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불어 내므로서 외기가 유입되도록
하는 방식으로 대부분의 냉각탑이 이에 해당됩니다

-
압입 송풍식 냉각탑
송풍기가 하부에 있어 외기를 강제로 불어 넣는 방식으로 외부 공기 유입이 어려운 지
역 이나 폐수 냉각등에 주로 이용되고 있습니다



(4)
공기와 물의 접촉 방식에 의한 분류

-
분무식 냉각탑
내부에 다른 충진재가 없이 물만 분사하여 공기와 접촉시키는 방식으로 어프로치가 큰
경우에 적용하고 있는 냉각탑 입니다

-
압입 송풍식 냉각탑
내부에 충진재를 넣어 물과 공기가 충진재에 의해 냉각되는 방식으로 수막형,수적형등
으로 나눌수 있습니다

'냉각탑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냉각탑 하부수조코팅  (0) 2011.03.02
냉각탑충진재교체  (0) 2011.03.02
냉각탑충진재교체  (0) 2009.09.30
냉각탑보수  (0) 2009.09.30
냉각탑  (0) 2009.09.28